GM도 테슬라 충전기 쓴다고속충전소 ‘슈퍼차저’ 쓴다…테슬라 주가 ‘폭등’ 일론머스크 도지코인

테슬라가 내년부터 급속충전소인 ‘슈퍼차저’를 제너럴모터스(GM)에게도 개방하기로 8일(현지시간) 합의했다. 포드에 이어 GM까지 테슬라망에 합류하면서 북미 시장에서 통일된 전기차 충전소 표준이 사실상 마련된 것으로 해석된다.
테슬라 주가는 장중 4.58% 상승 마감한 이후 시간외 거래서 또 4.75% 가량 올랐다. GM 주가 역시 장외거래서 3.57% 상승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이날 메리 바라 GM 최고경영자(CEO)와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는 ‘트위터 스페이스’ 오시오 생방송에서 내년부터 GM 전기차 고객들이 북미 지역에 있는 테슬라의 슈퍼차저 급속충전소 1만2000대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고 발표했다. GM은 2025년부터 현재의 산업 표준인 DC콤보(CCS 충전 단자) 대신 테슬라가 채택한 충전 규격(NACS)을 적용한다.

바라 CEO는 이번 파트너십에 대해 “북미의 통일된 표준이 되도록 추진할 수 있는 진정한 기회가 있으며 더 많은 대중이 이 표준을 채택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정말 기쁘다”고 밝혔다.
머스크 CEO도 “이는 전기자동차 발전을 위해 근본적으로 훌륭한 일이 될 것”이라며 “가장 중요한 것은 우리가 전기차 혁명을 목격하고 있다는 사실”이라고 강조했다.
GM은 전기차 충전 네트워크 구축에 7억5000만달러를 투입할 계획이었는데 이번 합의로 이 중 최대 4억달러를 절약할 수 있을 전망이다. GM은 불과 몇 주 전 포드가 테슬라와 충전망 파트너십을 발표했을 때만 해도 미국자동차공학회(SAE)와 CCS용 개방형 커넥터를 개발 중이었다.
이번 거래로 GM 고객이 사용할 수 있는 급속 충전기의 수는 약 두 배로 늘어나고 테슬라는 자사 충전 표준을 보다 확대하면서 양사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테슬라, GM, 포드 전기차는 현재 미국 전체 전기차 판매량의 약 70%를 차지한다. 테슬라 슈퍼차저는 미국과 캐나다 전체 급속 충전기의 약 60%를 차지한다.
테슬라와 GM, 포드간 동맹은 CCS표준을 채택한 다른 자동차 회사인 독립 충전네트워크 운영자에게 압력을 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경쟁 충전소 제조업체는 CCS보다는 NACS표준을 도입할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고 로이터는 분석했다. 모닝스타리서치의 데이비드 휘스턴은 “북미시장에서 NACS표준이 CCS를 이길 가능성이 훨씬 더 커졌다”고 설명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