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코인 불안하고 예·적금 별로… 다시 뜨는 외화예금 환테크 금리 재테크

금리는 떨어지고, 주식 시장은 불안해지자 금융소비자들이 강달러 시기를 활용할 수 있는 ‘환테크(환율과 재테크의 합성어)’로 눈을 돌리고 있다. 은행권은 외화예금 고객 유치를 위해 우대수수료 혜택 등을 내세운 관련 상품을 내놓고 있다.
환테크는 환율 변동 방향을 예측해 외화를 사고팔아 이익을 얻는 투자 전략이다. 소비자들은 환테크의 대표적이자 쉬운 방법으로 원화를 외화로 환전해 통장에 넣어두는 외화예금을 주로 택한다. 만기가 됐을 때 외화를 원화로 바꾸면 환차익을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은행에서 예치 기간만큼 금리를 적용해 주기에 이에 따른 수익도 보장받을 수 있다.
기준금리가 고공행진하고 있는 미국 달러예금의 경우 1년 만기 기준 외화예금 금리는 4~5%대다. 최근 시중은행의 일반 예·적금 금리가 3%대 초반에 불과한 점과 비교하면 약 1%포인트 높은 수치다.

은행들은 늘어난 환테크족(族)의 수요에 신규 외화상품을 잇달아 출시하며 달러 확보에 나섰다. 우리은행은 최근 외화예금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짐에 따라 개인 및 개인사업자 고객을 대상으로 예금금리에 환차익까지 기대할 수 있는 ‘우리 WON 외화정기예금 특판’을 출시했다. 1000달러부터 50만달러까지 가입할 수 있고 최대 연 0.3%포인트까지 우대금리가 제공된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최근 달러예금이 국내 원화예금보다 높은 금리를 제공하면서 외화예금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며 “달러 강세 흐름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돼 달러를 안전자산으로 선호하는 고객이 많아 관련 상품을 준비할 것”이라고 말했다.
새로운 고객을 끌어오기 위한 각종 이벤트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신한은행은 외화 입출금 계좌인 ‘외화체인지업 예금’ 계좌를 삼성증권 해외 주식 계좌와 연결한 고객 5000명에게 선착순으로 미국 10달러를 지급하는 이벤트를 열었다. 전북은행도 7월 말까지 이벤트 기간 내 외화예금 신규 가입 후 해당 계좌에 입금 시 이체 금액의 80%를 환율 우대하는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다고 한다.